❚ 全 썸네일형 리스트형 향수를 부르는 깻잎 저녁밥을 아주 맛나게 먹었다. 반찬을 거의 한 가지만 해서 먹은 것 같다. 깻잎 반찬.이런 걸 뭐라고 부르는지 모르겠다. 야리야리한 깻잎을 된장에 박아 아주 오래도록 삭힌 거.이걸 집사람이 밥할 때 밥솥에 넣어 쪘다. 은은한 된장 향, 은근한 짭짤함.깻잎 한 장의 무게감이 묵직하였다. 불 때서 밥한 진짜 가마솥에서 긁은 따끈한 누룽지!이제는 맛볼 수 없다. 이 깻잎도 앞으로 그리되지 않을까 싶다. 귀한 음식 선물 주신 그분, 선생님께 깊이 감사!! 더보기 가을 낙엽, 봄 낙엽 더보기 서내농원, 탄탄비빔면 무슨 농장 이름 같은데 엄연한 밥집이다. 강화읍에서 고려산 고비고개 넘는 길에 있다. 2층 가정집을 개조해서 식당으로 만든 것 같다. 식당 건물 옆 소나무 한 그루, 아주 근사하다. 두부요리 전문점이다. 매일 두부를 직접 만들어서 음식을 만든다. 두부전골, 두부두루치기 등이 있다. 두부가 맛있어서 한 모 사오려고 했더니따로 팔지는 않는다고 한다. 색다른 메뉴 하나, 탄탄비빔면!이름도 비주얼도 맛도 정말 색다르다. 면은 소면 국수와 냉면 중간 정도의 식감이다. 숙주랑 면을 같이 먹으면 씹는 맛이 더 좋아진다. 비빔 소스 맛이 독특해서 주인장에게 물었더니땅콩과 두부를 주원료로 만든다고 했다. 함께 얹어 나오는 돼지고기와 면의 조화도 순조롭다.호불호가 갈리는 맛일 듯한데, 나는 호였다. 더보기 [강화군 보도자료] 박용철 강화군수, 국방부에 대북방송 중단 요구 박용철 군수 “강화군민 인내는 한계… 이제는 정부가 응답할 때” 강화군(군수 박용철)이 북한의 대남 확성기 방송으로 인한 주민 피해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며, 국방부에 즉각적인 대북방송 중단을 강력히 요청했다. 박용철 군수는 지난 8일 국회에서 국방부 관계자와 간담회를 갖고, 대북방송 중단촉구 건의서와 주민 탄원 서명부를 전달했다. 이번 간담회는 박용철 군수의 요청으로 배준영 국회의원이 주선해 이뤄졌다. 이날 박용철 군수는 강화군의 현 상황과 주민 고통을 조목조목 국방부에 전달했다. 북한은 지난해 7월 대남 확성기 방송을 재개한 데 이어 최근에는 확성기를 추가 설치하고 성능까지 개선한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방송 방향을 민가 쪽으로 돌리는 등 피해 지역을 더욱 넓혔다.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이 4차.. 더보기 부일식당 부대찌개 참 오래된 식당부일식당강화읍사무소 앞에 있다. 건물 외관도 내부 모습도 허름하다. 그래도 들어가 앉으면, 푸근하고 정겹다. 밥때마다 손님이 그득하다. 여러 종류 찌개가 있는데, 부대찌개가 대표 메뉴다. 이 집의 장점은 음식 퀄리티에 기복이 없다는 것이다. 찌개와 각종 반찬 맛이 언제나 준수하다. 경박하지 않다. 공기밥이 나오지만, 솥밥 이상의 맛이 있다. 가격도 순하다. 오랜 세월, 손님이 끊이지 않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더보기 귀 열어 하늘의 경고를 들으시라 연산군 3년(1497년), 대궐에 벼락이 쳤다. 국왕 비서 기관인 승정원에서 아뢰길, 임금이 덕을 잃어 하늘이 꾸지람을 내린 것이라고 했다. 연산군은 조정에 나가 “내가 부덕하여 하늘이 벼락을 내렸다”라고 하면서 대책을 말해달라 이른다. 신하들이, 성찰하고 근신하며 정사를 부지런히 돌보셔야 한다고 말했다. 천둥소리는 백성들이 고통스러워 울부짖는 소리이니 그들의 억울함을 풀어주어야 한다고도 했다. 연산군의 대답이 대략 이러했다. “그동안 날이 너무 더워서 내가 정사에 게을렀다. 경연에도 응하지 않았다. 앞으로는 열심히 하겠다.”연산군 6년(1500년), 사헌부가 상소했다. 임금이 잘못하면 하늘이 천재지변을 내려 꾸짖고 경고한다는 한나라 동중서의 말을 인용하면서 “근래 수재와 한재가 잇따르고 흉년과 기근이 .. 더보기 강화도조약을 알아봅시다 방귀 뀐 놈이 성낸다더니 올해는 2025년입니다. 150년 전인 1875년(고종 12)에 초지진 수비군이 무단 침입한 일본 군함을 쫓아냈습니다. 운요호 사건입니다. 다음 해 1876년(고종 13) 2월, 그들이 다시 강화에 왔습니다. 조선 정부에 따지겠다고 왔습니다. 서계(외교문서) 접수 거부와 운요호 사건에 대한 사과를 받겠다는 겁니다. 중국에 가다가 물이 부족해 물 좀 달라고 간 사람들에게, 그것도 국기를 달아 국적을 밝힌 사람들에게 물은 안 주고 포격한 이유가 뭐냐. 인도주의적으로도 그렇고, 국제법상으로도 그렇고, 조선이 잘못했다는 얘기입니다. 지난 호(제77호, ‘운요호 사건의 진실’)에서 말씀드린 대로 식수를 구하러 왔다는 것은 거짓입니다. 중국 가던 길이라는 말도 거짓입니다. 국기를 달았다는 .. 더보기 《철종의 눈물을 씻다》 《철종의 눈물을 씻다》-강화도령 이원범의 삶과 그의 시대사 책을 준비하면서 구상했던 책 이름은 이게 아니었어요. 그런데 공부하다 보니, 하늘에서 철종이 몹시 억울해하겠구나, 그래서 눈물도 꽤 뿌렸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 눈물이라도 씻어드려야겠다.’ 하여 이름을 바꿨습니다. 철종의 눈물을 씻다! 강화도령으로 불리는 이원범, 그이가 조선 임금 철종이 됩니다. 철종에 대한 우리네 기억과 인식은 부정적입니다. 대표적인 혼군이라는 평가까지 있지요. 하지만, 상당 부분 오해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그의 일생이 사실과 너무 다르게 왜곡되어 알려졌습니다. 이 책은 철종의 진짜 모습에 가까이 다가가려는 작업의 결과물입니다. 그이는 나무꾼도 농사꾼도 아니었다고 말합니다. 정치를 내팽개치고 주색에 빠져 .. 더보기 한국사 속 강화도 역사 없는 땅이 어디 있으랴. 그럼에도 강화도는 좀 유별나다. 구석기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사의 흔적이 섬 안에 가득하다. 고인돌의 성지로 남한 땅에서 제일 큰 탁자식 고인돌이 있다. 고조선·단군과 관련된 전설이나 유적은 전국 여러 곳에 퍼져있다. 그런데 옛 역사책에 기록이 남아 공신력이 인정되는 곳은 강화도의 참성단과 삼랑성이다. 《고려사》에 “마리산은 부의 남쪽에 있으며 산 정상에 참성단이 있다. 세상에 전하기를 단군이 하늘에 제사하던 제단이라고 한다.”, “전등산은 일명 삼랑성인데 세상에 전하기를 단군이 세 아들을 시켜 쌓은 것이라고 한다.” 이렇게 적혀 있다. 《세종실록》에도 비슷한 내용이 실려 있다. 비록 ‘세상에 전하기를[世傳]’이라는 단서를 달았으나 나라에서 편찬한 공식 역사책에.. 더보기 이전 1 2 3 4 ··· 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