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全 썸네일형 리스트형 강화도조약을 알아봅시다 방귀 뀐 놈이 성낸다더니 올해는 2025년입니다. 150년 전인 1875년(고종 12)에 초지진 수비군이 무단 침입한 일본 군함을 쫓아냈습니다. 운요호 사건입니다. 다음 해 1876년(고종 13) 2월, 그들이 다시 강화에 왔습니다. 조선 정부에 따지겠다고 왔습니다. 서계(외교문서) 접수 거부와 운요호 사건에 대한 사과를 받겠다는 겁니다. 중국에 가다가 물이 부족해 물 좀 달라고 간 사람들에게, 그것도 국기를 달아 국적을 밝힌 사람들에게 물은 안 주고 포격한 이유가 뭐냐. 인도주의적으로도 그렇고, 국제법상으로도 그렇고, 조선이 잘못했다는 얘기입니다. 지난 호(제77호, ‘운요호 사건의 진실’)에서 말씀드린 대로 식수를 구하러 왔다는 것은 거짓입니다. 중국 가던 길이라는 말도 거짓입니다. 국기를 달았다는 .. 더보기 《철종의 눈물을 씻다》 《철종의 눈물을 씻다》-강화도령 이원범의 삶과 그의 시대사 책을 준비하면서 구상했던 책 이름은 이게 아니었어요. 그런데 공부하다 보니, 하늘에서 철종이 몹시 억울해하겠구나, 그래서 눈물도 꽤 뿌렸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 눈물이라도 씻어드려야겠다.’ 하여 이름을 바꿨습니다. 철종의 눈물을 씻다! 강화도령으로 불리는 이원범, 그이가 조선 임금 철종이 됩니다. 철종에 대한 우리네 기억과 인식은 부정적입니다. 대표적인 혼군이라는 평가까지 있지요. 하지만, 상당 부분 오해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그의 일생이 사실과 너무 다르게 왜곡되어 알려졌습니다. 이 책은 철종의 진짜 모습에 가까이 다가가려는 작업의 결과물입니다. 그이는 나무꾼도 농사꾼도 아니었다고 말합니다. 정치를 내팽개치고 주색에 빠져 .. 더보기 한국사 속 강화도 역사 없는 땅이 어디 있으랴. 그럼에도 강화도는 좀 유별나다. 구석기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사의 흔적이 섬 안에 가득하다. 고인돌의 성지로 남한 땅에서 제일 큰 탁자식 고인돌이 있다. 고조선·단군과 관련된 전설이나 유적은 전국 여러 곳에 퍼져있다. 그런데 옛 역사책에 기록이 남아 공신력이 인정되는 곳은 강화도의 참성단과 삼랑성이다. 《고려사》에 “마리산은 부의 남쪽에 있으며 산 정상에 참성단이 있다. 세상에 전하기를 단군이 하늘에 제사하던 제단이라고 한다.”, “전등산은 일명 삼랑성인데 세상에 전하기를 단군이 세 아들을 시켜 쌓은 것이라고 한다.” 이렇게 적혀 있다. 《세종실록》에도 비슷한 내용이 실려 있다. 비록 ‘세상에 전하기를[世傳]’이라는 단서를 달았으나 나라에서 편찬한 공식 역사책에.. 더보기 일본영화, 퍼펙트 데이즈 벗님네들과 식사 자리. 영화 ‘퍼펙트 데이즈’가 화제로 올랐다. 너무 좋아서 두 번 봤다는 친구가 나에게 봤냐고 물었다. 눈만 껌뻑이고 있던 나는 보지 않았다고, 볼 생각 딱히 없다고 대답했다. 일본영화라서 안보겠다고 한 게 아니다. 외국영화라서 안보겠다는 거다. 한글 자막과 화면과 음향에 동시 집중하는 게 나는 어렵다. 그래서 우리 영화를 주로 본다. 친구가 그랬다. 자막 별로 안 나온다고, 대사 별로 없다고. 웬만해선 안 그럴 것 같은 친구가 너무 좋아 두 번이나 봤다니 궁금하지 않은가. 그래서 봤다. 퍼펙트 데이즈. 진짜였다. 주인공은 말이 없다, 거의. 표정과 작은 몸짓으로 말을 대신했다. 그럼에도 그 남자의 삶이 보였고 상당 부분 이해됐다. 60대 중후반쯤으로 보이는 남자 주인공. 그의 이름을 .. 더보기 강화도닷컴 소개 예까지 찾아와주셔서 고맙습니다. 강화도닷컴(ganghwado.com)은 강화의 역사와 문화유산을 소개하는 티스토리 블로그입니다. 보고 듣고 먹고 읽는 소소한 일상 이야기도 함께 다룹니다. 글 소재는 史·冊·常·敎, 이렇게 넷으로 구분합니다. 史는 江華史를 위주로 한 역사와 문화유산冊은 운영자의 책 소개常은 그냥 살아가는 이야기 敎는 교육과 학교 관련 글입니다. 全은 블로그에 올린 모든 글이 날짜순으로 배열된 것입니다. 운영자가 신문, 잡지 등에 게재한 글들이 많은 편입니다. 다른 분의 글이나 사진을 옮겨올 때는 ‘[스크랩]’ 등으로 표기하고 출처를 밝혔습니다. 검색 버튼과 최근글 목록은 화면 하단에 있습니다. '구독하기' 버튼은 작동하지 않습니다. 개인도메인을 써서 그렇다고 합니다. 더보기 강화선비지향포럼과 《강화선비》 강화에 각종 공부 모임이 참 많은 것 같다. 내가 알고 있는 모임도 여럿이다. 공부하는 즐거움을 맛본다는 것은 행복한 일이다. ‘강화선비지향포럼’은 내가 관심을 두고 마음으로나마 성원하는 모임이다. 허울 선비가 아니라 진짜 선비의 삶을 추구하는 분들이 모인 것 같다. 특히 존경스러운 것은, 회원 대개 연령이 70대~80대라는 점이다. 90대도 계시다. 이분들이 1년에 한 번 내는 《강화선비》라는 간행물을 만났다. 빨강 표지가 인상적이다. 소논문 여러 편과 회칙, 연혁 등이 실렸다. 공부 모임의 결과물을 세상에 내놓는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연혁에 따르면, 2022년 2월에 이성동·이진환·이은용 선생님 주도로 ‘강화선비지향포럼’을 결성했다. 회장은 류중현 선생님이 맡았다. 정기적인 학술토론회를 .. 더보기 추억의 맛은 힘이 세다 집사람이 저녁상에 모처럼 묵은 총각김치를 지져 올렸다. 뚝배기에서 김이 모락거린다. 척 보니 색이 탁한 것이 맛없어 보인다. 그렇게 보일 뿐이고 사실은 맛나다는 걸 나는 안다. 문뜩 한 친구가 생각났다. 고등학생 때, 선원면에 사는 친구가 강화읍에서 자취했다. 자취방에 자주 놀러 갔다. 어느 날 친구가 밥을 해줬다. 반찬은 딱 하나. 집에서 가져온 총각김치에 물 적당히 넣고 양은냄비에 끓였다. 아무것도 안 넣고 오직 물 약간. 멸치 한 마리도 들어가지 않았다. 오늘 저녁 우리집 찌개처럼 색깔이 거무튀튀했다. 별로 땡기지 않는 비주얼, 그래도 냄새는 구수했다. 먹기 시~작! 의와, 그렇게 맛있을 수가 없었다. 국물이 끝내줬다. 지금껏 내가 먹어본 김치찌개 가운데 그때 친구가 해준 게 최고의 맛이었다. .. 더보기 사인비구 제작 동종-강화동종 혹시, 노래 듣다가 울어보신 적 있으신가요?저는 있습니다. 예전에 ‘미스터트롯’에서 임영웅이 부르는 ‘어느 60대 노부부 이야기’를 들을 때였네요. 제 의지와 상관없이, 주르륵 흘렀습니다. 좋은 음악은 지저분한 마음을 맑게 씻어주고, 어수선한 마음을 다독여주는 것 같습니다. 저는 산사의 종소리도 좋은 음악이라고 여깁니다. 드엉, 덩, 은은한 종소리가 귀보다 먼저 가슴으로 스미면, 나도 몰래 “하아~” 한숨을 내쉽니다. 산에서 듣는 종소리와 집에서 듣는 종소리는 맛이 다를 수밖에 없지요. 그래도 강화동종의 울림소리는 여느 산사의 범종 소리에 뒤지지 않았습니다. 참으로 그윽했습니다. 절에 있는 종을 대개 범종(梵鍾)이라고 부릅니다. ‘범(梵)’은 불교와 관련된 글자예요. 강화동종은 그냥 동종(銅鐘)입니다. .. 더보기 《삼국지》는 소설책일까, 역사책일까 《삼국지》 하면 우선 소설을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한국사 교과서에 나오는 《삼국지》는 소설이 아니고 역사책이다. 소설 《삼국지》의 정식 이름은 《삼국지통속연의》, 줄여서 《삼국지연의》라고 한다. 명나라 때 나관중(1330?~1400)이 지었다. 역사책 《삼국지》는 위진남북조시대 서진 때 진수(233~297)가 썼다. 기전체 형식이다. 나관중은 진수의 《삼국지》를 바탕으로 《삼국지연의》라는 작품을 만들었다. 기전체 역사책 《삼국지》는 위서·촉서·오서로 되어 있다. 위서에 실린 열전 가운데 하나가 동이전이다. 《삼국지 위서 동이전》은 하나의 책 제목이 아니라 《삼국지》 속에 있는 위서에 실린 동이전이라는 뜻이다. 중국은 자기네 동쪽에 사는 이민족들을 동이(東夷)라고 불렀다. 우리나라도 동이족에 포함됐다. ..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 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