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 충렬사 앞에 선 안내판 전문입니다.
병자·정축호란(1636~1637) 당시 종묘의 위패를 받들고 세자빈과 원손을 수행하여 강화도로 피난하였다가 강화가 함락되었을 때 순절한 김상용을 비롯하여 공조판서 이상길, 장령 이시직, 돈녕도정 심현, 천총 구원일 등을 배향하기 위하여 인조 19년(1642)에 건립된 사당이다. 효종 9년(1658)에 사액되었다.
1657년 훈련정 황선신, 훈련첨정 강흥업을, 1658년에는 금부도사 권순장, 생원 김익겸, 필선 윤전을, 영조 4년(1728)에 좌승지 홍명형을, 1787년에 광흥수 이돈오, 홍익한과 병자호란 때 근왕병을 모아 남한산성으로 가려다 순절한 윤계를 함께 추향하였다.
건립 당시에는 현충사(顯忠祠)라 하였으나 효종 9년(1658)에 효종이 유수 허휘에게 현판과 전답을 내리면서 충렬사로 개칭하였다. 당초에는 유생들이 수련하던 명륜당과 기거하면서 공부하는 동재·서재가 있었으나 없어졌다. 현재는 사당·외삼문·대문의 양측에 설치된 수직방, 제사 때 제수 용품을 준비하던 전사청, 비각 등이 남아 있다.
병자호란 때 순절한 김상용 등을 모신 ‘사당’이다, 오랜 시간에 걸쳐 배향 인물이 늘어났다, 원래 이름은 현충사였는데, 사액 받으면서 충렬사로 이름이 바뀌었다, 지금은 없으나 옛날에는 동재·서재도 있었다. 대략 이런 내용을 담은 안내판입니다.
병자호란을 ‘병자·정축호란(1636~1637)’이라고 쓴 이유는 병자년에 시작된 전쟁이 정축년에 끝났기 때문입니다. 전쟁 기간이 2년인 것 같지만, 사실은 짧습니다. 1636년(인조 14) 병자년 12월부터 다음 해인 1637년(인조 15) 정축년 1월까지의 사건입니다. 두 달 정도입니다. 강화가 함락된 것은 1637년 정축년 1월 22일입니다.
안내판 내용이 상세합니다만, 일부 부적절한 내용이 들어있기도 합니다. 우선 눈에 띄는 오류부터 바로잡습니다. ‘인조 19년(1642)’은 ‘인조 20년(1642)’으로 고쳐야 합니다. 또 충렬사가 사액 받을 당시 강화유수는 허휘가 아닙니다. 허휘는 충렬사를 처음 세울 때의 유수이고 임금에게 사액을 요청했던 유수는 민응협입니다. 학생들이 공부하던 공간을 ‘명륜당’이라고 했는지도 의문입니다. 명륜당은 향교의 강당(講堂) 이름입니다. 충렬사에서는 성취당이라고 했을 겁니다. 그리고 ‘사당’보다는 ‘사우(祠宇)’라고 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충렬사 안내판에 의하면, 인조 20년(1642)에 세웠고 효종 9년(1658)에 사액되었으며 원래 이름이 현충사였다고 합니다. 이게 정설입니다. 그런데 사실은 사료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입니다. 다음 표를 보겠습니다.
<충렬사 건립 및 사액 시기 비교>
건립 시기 | 사액 시기 | 건립 당시 명칭 | |
《강도지》 이형상(1696) |
1642년 (인조 20) |
1658년 (효종 9) |
|
《여지도서 강도부지》 (1757~1765) |
1642년 (인조 20) |
1658년 (효종 9) |
|
《강화부지》 김노진(1783) |
1642년 (인조 20) |
1658년 (효종 9) |
현충사 / 현렬사 (顯忠祠) (顯烈祠) |
《속수증보강도지》 박헌용(1932) |
1641년 (인조 19) |
1658년 (효종 9) |
현충사 (顯忠祠) |
《조선왕조실록》 | 1640년 (인조 18) |
1657년 (효종 8) |
《강도지》는 1641년(인조 19)에 충렬사를 짓기 시작해서 1642년(인조 20)에 봉안했다고 기록했습니다. 《속수증보강도지》에는 사액 시기를 효종 무진년이라고 했습니다만, 효종 대에 무진년이 없습니다. 무술년의 오기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무술년이 1658년(효종 9)입니다.
사료의 연대가 모두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정설대로 1642년(인조 20) 건립, 1658년(효종 9) 사액, 이렇게 보는 것이 적절합니다. 1866년에 기록한 〈충렬사 중수기〉에도 그렇게 나옵니다.
충렬사의 원래 이름이 현충사라고 합니다. 그런데 《강화부지》는 현충사와 함께 현렬사를 언급했습니다. 현충사와 현렬사, 둘 가운데 현렬사가 맞는 것 같습니다. 이식(1584~1647)의 《택당집》에 사액 이전 충렬사에 대한 글들이 있습니다. 건립 당시의 기록입니다. 글의 제목이 이러합니다. <江都顯烈祠春秋兩丁祝文>, <江華顯烈祠上梁文>. 모두 현렬사라고 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