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주민 1명, 썰물 때 걸어서 귀순
북한 주민이 8일 한강하구의 남북 중립수역을 넘어 남쪽으로 귀순했다. 썰물 때 물이 빠지는 것을 이용해 걸어서 인천 강화군 교동도에 도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합동참모본부는 “우리 군은 북한 인원으로 추정되는 미상 인원의 신병을 확보해 관계기관에 인계했고 남하 과정과 귀순 여부 등에 대해 관계기관에서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군 소식통에 따르면 앞서 군은 감시자산을 통해 남북 중립수역에서 2명을 식별한 뒤 이들을 추적했고, 교동도에서 1명의 신병을 확보했다. 다른 한 명은 행방불명으로, 넘어오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한강하구 남북 중립수역은 경기 파주 탄현면 만우리에서 인천 강화군 서도면 볼음도까지 약 67㎞ 구간으로 교동도는 황해도 연백군과의 거리가 2.6㎞에 불과하다. 군 관계자는 “이 지역은 썰물 때가 되면 물이 상당히 많이 빠진다”며 “이전에도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해 물이 빠졌을 때 걸어서 넘어온 사례가 있다”고 전했다. 이곳은 한미연합사의 관할 지역이다.
정부는 합동신문조사 등을 통해 신병을 확보한 주민의 정확한 신원과 귀순 의사 등을 조사하고 있다. 함께 있던 다른 한 명의 행방도 확인할 방침이다. 합참은 “현재까지 북한군의 특이 동향은 없다”고 밝혔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이날 오후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해당 사안에 대해 “(북한 주민이) 출발하는 지점부터 계속 감시해서 (귀순을) 유도했던 성공적인 작전”이라고 설명했다.
북한 주민의 서해를 통한 귀순은 지난해 5월 일가족 9명이 목선을 타고 넘어온 뒤 처음이다.
〈서울신문〉 2024-08-09 허백윤 기자
北주민 걸어서 귀순한 중립수역…‘탈북 단골 루트’
북한 주민 1명이 지난 8일 남쪽으로 걸어서 귀순했다. 이 주민이 건너온 한강하구 중립수역은 별도의 군사분계선이 없는 데다 썰물 때 걸어다닐 정도로 수위가 낮아지는 특성이 있어 이전부터 ‘단골 탈북 루트’로 사용됐다.
9일 군에 따르면 귀순한 북한 주민은 한강하구 남북 중립수역에 썰물로 물이 빠진 틈을 타 걸어서 인천 강화군 교동도로 이동했다. 군은 감시자산을 통해 중립수역에서 2명을 식별한 뒤 이들을 추적했고, 교동도에서 1명의 신병을 확보했다. 다른 한 명은 행방불명으로, 넘어오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 북한 주민이 걸어온 한강하구 중립수역의 폭은 가장 넓은 곳이 10㎞, 가장 좁은 곳이 900m 정도이다. 썰물 때는 걸어 다닐 수 있는 수준으로 수위가 낮아지는 지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강하구 중립수역은 경기 파주 탄현면 만우리에서 인천 강화군 서도면 볼음도까지 약 67㎞ 구간으로 교동도는 황해도 연백군과의 거리가 2.6㎞에 불과하다. 이곳은 남과 북의 우발적 충돌을 막기 위해 강에 설정한 별도의 군사분계선이 없는 완충구역으로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가 관할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탈북민들이 한강하구 중립수역을 통해 탈북하는 사례는 종종 있어왔다. 2017년 6월 20대 초반 북한 남성이 나뭇가지와 스티로폼 등 부유물을 어깨에 끼고 한강을 헤엄쳐 건너와 김포반도 북단 한강하구 지역에서 발견되기도 했다. 한강하구 중립수역에 위치한 교동도로 탈북민이 귀순해 알려진 사례는 2013년 8월, 2014년 8월, 2015년 9월, 2017년 8월 등 여러 차례 있었다.
접경지역에서 북한 주민이 귀순했다는 사실이 공개된 것은 지난해 10월 동해에서 여성 3명과 남성 1명이 소형 목선을 타고 북방한계선(NLL)을 넘어온 이후 10개월 만이다. 서해로 귀순한 것은 지난해 5월 이후 처음이다.
〈서울신문〉 2024-08-09 곽진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