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를 아버지라고 부르지 못했던 홍길동처럼 우리는 오래도록 짜장면을 짜장면으로 쓰지 못했습니다. ‘자장면’으로 쓰고 불러야 했지요. 한국어 맞춤법 규정이 그랬습니다. 2011년에야 ‘짜장면’이 표준어로 인정되면서 공식적으로 짜장면으로 쓸 수 있게 되었지요.
50년 전쯤에 머릿속에 각인된 단어 ‘태풍관’이 지금도 기억에 생생합니다. 아리랑골목 입구에 있던 강화 유일의 중국집이었죠. 강화 아이들이 가장 가보고 싶었을, 그러나 기껏 일 년에 한두 번 가는 선망의 짜장면집, 거기가 태풍관이었습니다.
‘강화국민학교’ 다니던 때 학교를 마치면 가끔 태풍관으로 내려갔습니다. 주위를 잠시 맴돌고 나서야 집으로 가곤 했습니다. 왜 그랬나? 냄새 맡으러 간 겁니다. 주방에서 흘러나오는 짜장면 냄새를 코로 받아먹으며, 아~ 맛있다, 그렇게 달떠서 집으로 가는 겁니다.
가난한 집 아이들은 철이 빨리 드는 편입니다. 엄마에게 사달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그래봤자, 사줄 형편 안 되는 엄마, 가슴만 아프게 하는 거니까요. 그래도 정말 너무너무 먹고 싶을 땐 “엄마, 짜장면 먹고 싶어” 할 수밖에 없었지요.
20년 전쯤에 큰 인기를 끌었던 남성 그룹 지오디(god)의 노래 중에 ‘어머님께’가 있습니다. 가사에 의하면, 라면만 먹다 지친 어떤 꼬마가 엄마에게 대들었습니다. “짜장면 사달라고!” 꼬마는 드디어 먹게 됩니다.
“숨겨두신 비상금으로 / 시켜주신 / 자장면 하나에 / 너무나 행복했었어 / 하지만 어머님은 / 왠지 드시질 않았어 / 어머님은 자장면이 / 싫다고 하셨어 / 어머님은 자장면이 / 싫다고 하셨어”
입에 고인 침 몰래 삼키며 아들 맛나게 먹는 걸 바라보는 엄마, 그 슬픈 거짓말, “엄마는 짜장면이 싫어” 우리네 엄마들은 늘상 그렇게 거짓말하며 우리를 키웠습니다.
제 어머니는 평생 습관이 되신 것 같아요. 어쩌다 어머니 좋아하시는 특별한 음식을 사 와 식탁에 올립니다. 맛이 없다며, 이가 아프다며 잘 안 드십니다. 저는 일부러 조금만 먹고 식사를 끝냅니다. 그러면 어머니는 남은 걸 맛나게 다 드십니다.
돌아가신 제 아버님도 짜장면을 좋아하셨습니다. 오래도록 병원에 입원해 계셨었는데 입맛을 잃어 통 드시지 못했습니다. 어느 날 드시고 싶은 게 있냐고 했더니 짜장면이 먹고 싶다고 하시는 거예요. 그래서 배달시켜드리려고 했더니 가끔 가던 중국집에 가서 드시고 싶다는 겁니다. 거긴 배달 안 하는 집인데.
난감했습니다. 간호사의 허락을 겨우 받아 링거 꽂은 그대로 아버지를 모시고 외출했습니다. 차에서 내려 휠체어에 모시고 중국집에 들어갔지요. 정말 달게 드셨습니다. 제 꺼 덜어드린 것까지 다 드시고는 흐뭇한 미소까지 지으셨습니다.
차창 밖을 바라보는 아버지의 얼굴이 모처럼 행복해 보였습니다. 아버지는 짜장면만큼이나 병원 바깥 공기가 그리웠던 모양입니다. 그때는 몰랐습니다만, 그게 아버지의 마지막 외식이었습니다.
아, 이제 짜장면 넋두리 그만해야겠습니다. 아프신 노모 점심 차려 드릴 시간입니다. 오늘은 모처럼 짜파게티를 끓여볼까 합니다. 어머니가 잘 드시거든요. 근데, 살짝 귀찮은 생각이 드네요. 짜장면 배달? 짜파게티? 배달?
〈강화뉴스〉 2021.03.15.